2025년 정부 지원금 혜택 총정리 – 청년·직장인 필독 가이드
물가 상승과 고용 불안정 속에서 정부 지원금 제도는 많은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특히 청년층과 직장인은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몰라서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청년·직장인이 받을 수 있는 주요 지원금 제도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
1. 청년내일저축계좌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30만 원을 추가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 3년 동안 유지하면 최대 1,440만 원의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 2025년에도 운영되며,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이 대상입니다.
- 신청 대상: 만 19~34세, 근로 중 청년
-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2. 근로장려금(EITC)
소득이 낮은 근로자, 자영업자에게 연 최대 330만 원까지 지원되는 제도입니다. 가구 유형별로 차등 지급되며, 매년 5월 홈택스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 1인가구도 대상에 포함됩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홈택스 신청 바로가기
3. 국민내일배움카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 또는 재직 중인 직장인 모두에게 훈련비 최대 300~500만 원까지 지원되는 카드입니다. 오프라인, 온라인 강의 모두 가능하며, HRD-Net에서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 항목: 자격증 과정, 코딩, 디자인 등 직무 교육
- HRD-Net 카드 신청
4. 청년도약계좌
2023년에 도입된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에도 계속 운영됩니다.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저축 시 정부가 이자 및 소득공제를 지원하며,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도 가능합니다.
- 대상: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청년
- 신청 장소: 주요 시중은행 및 앱
5. 직장인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자산형성 지원 제도입니다. 기업과 근로자가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더해 최대 수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장기근속 유도형 제도입니다.
- 운영기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내일채움공제 신청
마무리
정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청년과 직장인의 경제적 안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만, 혜택은 ‘신청자’에게만 주어진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지금 당장 확인하고, 놓치지 말아야 할 지원금은 직접 챙겨보시기 바랍니다. 정책은 많고, 혜택은 현실적입니다.